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.

보도·설명

(참고) 강릉시 가뭄 ‘경계’ 단계로 격상… 환경부 등 관계기관 총력 대응 지속

등록일2025-08-12

▷ 강릉시 오봉저수지 현재 저수율 25.4%, 평년 대비 37.8% 수준

 

환경부(장관 김성환)는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의 주요 상수원인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8월 12일 오전 25.4%(평년대비 37.8%)로 낮아짐에 따라 이날 기준으로 강릉시 가뭄단계를 ‘경계’ 단계로 격상한다고 밝혔다.

 

* 오봉저수지 공급: 생활용수 10만㎥/일, 농업용수 4만㎥/일(강릉시 생공용수 공급비율 86.6%로 급수인구 약 18만명)

 

** 강릉시 가뭄 판단기준(저수율, %) : 관심 35, 주의 30, 경계 25, 심각 20  

※  오봉저수지 최근 6개월 강수량(371.6㎜)이 평년대비 54.9% 수준

 

오봉저수지는 지난 7월 9일 ‘주의’ 단계에 진입했으며, 저수율이 26.7%까지 하강한 이후 7월에 내린 비로 저수율이 36.6%로 소폭 상승했으나, 이달(8월)부터 강수량이 적어 현재까지 저수율이 계속 낮아지고 있다.

 

이에 따라, 환경부는 강릉시 가뭄이 장기화되는 상황을 고려하여 행정안전부, 농림축산식품부 등 관계 부처 및 기관과 협업하여 총력 대응을 하고 있다. 

 

이날 가뭄 ‘경계’ 단계 진입에 따라, 강릉시와 농어촌공사(오봉저수지)는 생활·공업용수 및 농업용수 공급량을 각각 약 ‘하루에 1만톤(㎥/일)’을 추가로 감량하게 된다.

 

현재 강릉시는 하루 5천톤의 유출지하수(5,000㎥/일)를 보조수원으로 활용하고 하루 1만톤의 남대천 하천수를 농업용수(10,000㎥/일)로 공급하고 있다. 아울러 환경부 산하 한국수자원공사에서 3만병의 병물을 먹는물로 지원하고 있다.

 

환경부는 고질적인 강릉시의 가뭄 해소를 위해 연곡 지하수댐* 설치를 추진(‘24~27년)하고 있으며 강릉시, 농식품부 및 강원특별자치도 등 관계기관과 근본적인 해결책 마련을 위해 도암댐 활용방안, 오봉저수지 준설 등 다양한 대안을 검토하고 있다.

* 강릉시 연곡면 송림리 일원에 18,000㎥/일(36,000명 사용 가능) 생활용수 규모

 

김효정 환경부 물이용정책관은 “해마다 반복되는 강릉시 가뭄의 근본적 해결을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”라며, “관계기관과 협력하여 안정적인 용수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”라고 밝혔다

 

붙임  1. 오봉저수지 일반현황.2. 강릉시 가뭄대책.  끝.